LG에너지솔루션, 4000억 규모 ESS 배터리 '자발적 리콜'
LG에너지솔루션이 고객 안전과 품질을 최우선으로 하는 글로벌 선도기업으로서 ESS산업의 신뢰 회복 및 사회적 책무를 다하기 위해 자발적인 배터리 교체에 나선다. 리콜 대상이 되는 ESS용 배터리는 2017년 4월 ~ 2018년 9월 중국에서 초기 생산된 제품으로, 배터리 교체 및 추가조치 비용은 약 4000억원으로 예상된다. LG에너지솔루션이 ESS 화재 원인에 대한 정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국에서 초기 생산된 ESS 전용 전극에서 일부 공정 문제로 인한 잠재적인 리스크가 발견되었고, 해당 리스크가 가혹한 외부환경과 결합되면 화재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후, LG에너지솔루션은 BMS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고 현장 점검도 실시함으로서 ESS전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리스크를..
폭스바겐 파워데이, 전기차 배터리 자체 생산 목표
2021.03.15 2021년 3월 15일, 세계적인 자동차 업체인 폭스바겐이 배터리 관련 행사인 '파워 데이(Power Day)'를 열고 자사의 배터리 기술에 대한 로드맵을 발표했다. 지난해 테슬라의 '배터리 데이(Battery Day)'와 유사한 형태로 진행된 이 행사는 전기차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자동차 업체들이 더 이상 배터리를 외부에서 공급받지 않고 자체 생산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전기차용 배터리는 파우치형, 원통형, 각형으로 나뉜다. 파우치형 배터리는 주로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에서 생산하며 다양한 차량 디자인에 맞춰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원통형 배터리는 파나소닉, 삼성SDI가 주로 생산하며 규격화된 사이즈를 통해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다는 장점..
LG·삼성, 테슬라 겨냥한 원통형 배터리 생산 시설 확대
원통형 배터리는 규격화 되어있는 배터리로, 사용 용도에 따른 제품 선택이 자유로운 만큼 전기차용 배터리에도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원통형 배터리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전기차 업체는 테슬라로,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는 이에 대한 수주를 염두에 두고 전기차용 원통형 배터리 생산 시설을 확대할 전망이다. LG에너지솔루션이 생산할 것으로 예상되는 4680 원통형 배터리로, 지난해 9월 테슬라의 배터리데이에서 차세대 배터리로 소개했던 제품이다. 업계에서는 LG가 테슬라향 4680배터리 공장을 미국과 유럽에 증성할 가능성이 언급됐다"며 "특히 미국 스타트업인 루시드모터스, 패러데이 퓨쳐스, 로즈타운 모터스 등이 LG화학의 원통형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어, 테슬라뿐만 아니라 다양한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만큼..
삼성SDI, 원통형 배터리 추가 투자
2021.03.08 삼성SDI가 국내 천안 사업장, 말레이시아 세럼반에 원통형 배터리 생산 투자를 확대할 전망이다. 원통형 배터리는 규격화되어 있는 배터리로, 크기와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작은 크기 규격의 제품은 무선청소기, E모빌리티, 전동공구 등에 탑재되며, 큰 크기의 규격은 전기차용 배터리로 탑재될 수 있다. 원통형 배터리는 전동적으로 IT 시장 중심으로 성장해왔지만, 최근 전기차를 필두로 기기의 전동화, 무선화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원통형 배터리 시장은 꾸준하게 성장하는 모습을 보인다. 2020년은 19년 대비 10% 이상 성장했고, 올해도 약 20%의 성장이 예상된다. 원통형 배터리는 그 생산 역사가 오래된 만큼 신규 투자에는 노후화에 우선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여..
삼성SDI, 전기차 배터리 생산라인 '반자동화'추진
2021.02.01 삼성SDI가 전기차(EV) 배터리 생산 라인의 반자동화를 추진한다. 오퍼레이터(생산직 직원) 대신 배터리 소재를 옮겨주는 자율주행 무인운반차(AGV) 시설 투자를 검토할 예정이다. 기존의 배터리 생산 라인은 전 공정(전극 공정)부터 후 공정(포메이션 공정)까지 자동화 비중이 10% 정도로 자동화 비중이 매우 작다. 공정과 공정 사이에 오퍼레이터가 배치되어 배터리 소재를 옮기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특히, 전극 공정에서 인력의 비중이 높은데, 공정에서 만들어진 양‧음극 배터리 소재를 조립 공정으로 이동해줘야 하기 때문이다. 전극 공정을 통해 만들어진 배터리 소재를 마더롤이라고 부르는데, 이 마더롤을 슬리팅 공정을 통해 일정한 크기로 나눈다. 그리고 이렇게 나뉘어진 배터리 소재를 릴(R..
삼성SDI, 볼보 전기 트럭 배터리 양산
2021.01.21 2022년 출시된 볼보의 전기 트럭에 삼성SDI의 배터리가 탑재된다. 전기 상용차용 배터리 공급은 이번이 처음으로, 올해 안으로 볼보 전기 트럭용 원통형 배터리 개발을 마무리하고 올 하반기에 양산을 할 예정이다. 이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생산은 국내 천안과 중국 톈진 공장이 유력하다. 볼보의 전기 트럭에 탑재되는 원통형 배터리는 21700 규격의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배터리이다. 차량 한 대에 1만 8000여 개의 배터리 셀이 장착될 예정이며, 이는 테슬라 모델 S의 2배, 모델 3의 3배 이상되는 배터리 양이다. 한편, 삼성SDI가 공급하기로 한 21700 규격 원통형 배터리는 최근 들어 수요가 급상승한 모델이다. 배터리 전문 시장조사업체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원통형 배터리..
SK이노베이션, 중국 배터리 구독 시장 진출
2021.01.21 SK이노베이션이 중국 배터리 교체형 전기차 시장에 진출한다. 이는 15조원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장으로, 전기차 가격의 40%에 달하는 배터리를 제외하고 차체만 저렴하게 판매한 뒤 배터리는 구독 서비스로 제공하는 방식이다. 전기차 전용 플램폼이 갖춰진 자동차들은 스케이트 보드형 차체 하단에 배터리를 장착한 형태로, 배터리 탈착이 비교적 쉽다. 배터리 교체 방식은 교체 스테이션에 전기차가 들어오면 로봇이 자동으로 차체 바닥의 배터리 보호 덮개를 분리하고, 충전된 배터리로 갈아 끼우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전기차의 약점인 충전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줄 수 있다. 더구나 사용할 수록 그 수명이 적어지는 배터리의 특성상 기존에 배터리 수명에 따라 자동차의 수명이 결정됐던 문..
SK이노베이션, 전기차(EV) 배터리 공장 투자 재개
2021.01.18 SK이노베이션이 전치차(EV) 배터리 생산 케파 확대를 위한 투자가 시작되고 있다. 증설 대상이 되는 공장은 중국 옌청 2공장이고, 이를 시작으로 미국 조지아 2공장 등에도 투자가 이뤄질 전망이다. 이는 배터리 장비 발주를 거의 진행하지 않았던 작년과는 다른 행보로 배터리 수요 증가에 대응한 결과로 보인다. 중국 옌청 2공장은 지난해 10월에 가동을 시작한 1공장과 같은 10기가와트시(GWh)규모로, 2022년 하반기부터 양산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옌청 2공장 증설을 마친 후에는 미국 조지아 2공장이 그 대상이 될 차례이다. 조지아 2공장은 2021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장비 발주가 시작될 것으로 보이며, 2023년부터 가동될 예정이다. 그리고 2공장의 규모는 11.7GWh 로, ..
LG에너지솔루션, 장축 배터리 전용 배터리 검사 장비 도입
2021.01.12 LG에너지솔루션(LG화학)이 제너럴모터스(GM)와의 전기차(EV) 배터리 합작사(얼티엄셀즈)에 사용할 전용 검사 장비를 도입한다. 배터리 셀 좌·우 길이가 500㎜ 이상인 장축(롱 셀) 모델 대상이다. https://minggumanggu.tistory.com/entry/LG화학-배터리-셀-규격-표준화 새롭게 편성하는 배터리의 표준 규격은 셀 좌·우 길이 300mm급 표준(레퍼런스) 셀과 500mm급 장축 두 가지 모델 위주로, 규격이 정해진만큼 검사 장비도 표준화가 이루어질 수 있고 검사 시간과 정확성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브이원텍은 LG에너지솔루션 오창 공장에 장축 배터리용 검사 장비를 단독 공급했다. 이는 얼티엄셀즈 전기차 배터리 파일럿 생산 라인을 대상으로 하는 양산성 테..
삼성SDI, 테슬라 손잡고 ESS 1위 굳힌다
2021.01.11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로 각광 받는 ESS(Energy Storage System) 배터리 부문에서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삼성SDI가 테슬라에 ESS 배터리를 공급한다. 테슬라는 본래 전기자동차 제조 및 판매 회사이지만, ESS 배터리 사업도 추진하고 있는 회사이다. 테슬라가 전망하고 있는 솔라시티는 주간 태양광 패널을 이용하여 발전한 전기에너지를 ESS 배터리를 통해 관리한다는 개념이다. 삼성SDI는 지난해 4분기부터 테슬라에 ESS 배터리를 공급했다. 정확한 규모는 공식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지난해 3분기 테슬라의 ESS 설치 용량(759MWh)이 같은 해 1분기(419MWh)에 대비해 약 2배정도 성장한 것을 보면, 그 공급량이 매우 많은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